profile

코드잇

2023. 5. 19
인터랙션 이해하기

피그마에서 레이어나 프레임 간에 커넥션을 만들게 되면, 인터랙션(Interaction)이라는 것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인터랙션이라는 건 커넥션을 통해 연결된 대상들이 프로토타입에서 어떤 식으로 전환하거나 상호작용할 지를 결정하는 것인데요. 인터랙션을 설정할 때는 다음 사항들을 설정해야 합니다.

1. 트리거(Trigger)

먼저 트리거를 설정해야 하는데요. 프로토타입에서 커넥션이 시작되는 대상(레이어 혹은 프레임)에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인터랙션을 시작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트리거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41c2o1q8h-image.png

  • None (없음)
  • On Click / On Tap (대상을 클릭하거나 손가락으로 탭했을 때)
  • On Drag (마우스로 드래그하거나 손가락으로 스와이프했을 때)
  • While Hovering (마우스로 대상 위에 호버하는 동안만)
  • While Pressing (마우스로 클릭하고 있거나 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는 동안만)
  • Key/Gamepad (키보드나 패드의 특정 키를 누르고 있을 때)
  • Mouse Enter (마우스가 대상의 영역으로 진입/호버했을 때)
  • Mouse Leave (마우스가 대상의 영역을 벗어났을 때)
  • Mouse Down / Touch Press (마우스 누름이나 터치를 감지했을 때)
  • Mouse Up / Touch Release (마우스를 누른 상태, 혹은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뗐을 때)
  • After Delay (정해놓은 시간이 지난 후에)

참고로 프레임과 프레임 간에 커넥션을 연결했을 때, 트리거는 기본적으로 On Click으로 설정됩니다.

2. 액션(Action)

다음은 액션이라는 것으로, 트리거로 설정한 조건을 만족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할 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a1g8680m9-image.png

  • None (없음)
  • Navigate to (하나의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기)
  • Change to (특정 요소로 변하기)
  • Open Overlay (화면/프레임 위에 특정 요소를 띄우기)
  • Swap Overlay (띄운 요소를 다른 요소와 바꾸기)
  • Close Overlay (띄운 요소를 닫기)
  • Back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기)
  • Scroll to (특정 부분으로 스크롤하기)
  • Open Link (링크 열기)

(대상이 영상인 경우)

  • Play Video (비디오 재생하기)
  • Pause Video (비디오 일시정지하기)
  • Toggle Play/Pause (트리거 작동 시마다 재생과 일시정지를 번갈아가면서 실행하기)
  • Mute Video (영상 음소거하기)
  • Unmute Video (영상 음소거 해제하기)
  • Toggle Mute/Unmute (트리거 작동 시마다 음소거와 해제 번갈아가면서 실행하기)

액션은 프레임과 프레임 간에 커넥션 연결 시, 기본적으로 Navigate to로 설정됩니다. 또, 내가 커넥션을 준 대상이 프레임인지, 영상인지 등에 따라 특정 액션들이 보이거나 보이지 않습니다.

3. 데스티네이션 (Destination)

데스티네이션은 설정한 액션의 대상을 가리키는데요. 커넥션을 연결해서 인터랙션을 만들게 되면, 연결한 대상이 데스티네이션으로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서 Frame 1으로부터 시작해서 Frame 2로 커넥션을 연결했다면, Frame 2가 데스티네이션이 되는 것이죠. 데스티네이션은 프로토타입에서의 화면, 즉 프레임이 될 수도 있지만, 팝업 같은 걸 표현하기 위한 용도로 Overlay라는 액션을 주면, 프레임이 아닌 레이어들로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세 가지를 설정하면 인터랙션이라는 것을 잘 만들 수 있게 됩니다.


애니메이션(Animation)

여기에 추가로 애니메이션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요. Navigate to 액션을 기준으로 했을 때, 한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갈 때 어떤 식으로 전환될지를 설정하는 겁니다.

애니메이션은 아래와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h2oeqklie-image.png

  • Instant (별도 애니메이션 없이 바로 전환)
  • Dissolve (한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 부드럽게 블러되면서 전환)
  • Smart Animate (이전 화면과 다음 화면에서 변한 요소들이 무엇인지 계산해서 자동으로 애니메이션 생성)
  • Move In (다음 화면이 이전 화면 위로 움직이면서 들어옴)
  • Move Out (다음 화면이 이전 화면 위로 움직이면서 빠져 나감)
  • Push (다음 화면이 이전 화면을 밀어 들어오면서 전환됨)
  • Slide In (Move In과 Dissolve가 섞인 형태로 전환됨)
  • Slide Out (Move Out과 Dissolve가 섞인 형태로 전환됨)

또 그 외에도 어떤 방향으로 애니메이션이 작동할지(Direction), 얼마나 부드럽게 애니메이션이 작동할지(Ease)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Figma의 공식 문서와 튜토리얼 영상을 참고해 주세요!


참고 자료

이 튜토리얼은 어땠나요?

(주) 코드잇

대표KANG YOUNG HOON, 이윤수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