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코드잇

2023. 1. 3
LTS의 의미

Node.js를 다운받을 때 LTS 버전과 Current 버전이 따로 있었는데, 기억하시나요?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이 둘의 차이점을 한번 알아볼게요.

Untitled

Node.js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면 하나는 '18.12.1 LTS'라는 버전이고, 다른 하나는 '19.0.1 Current'라는 버전입니다. (시점에 따라 이 숫자들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하나는 숫자가 낮고 LTS라는 문구가 붙어있고, 다른 하나는 숫자가 높고 Current라는 문구가 붙어있다는 점에 주목해 주세요.) 무슨 차이가 있길래 두 가지 버전으로 나눠서 배포하는 걸까요? 이 차이를 이해하려면 먼저 Node.js가 어떤 식으로 새 버전을 출시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Node.js를 만드는 개발자들은 매년 4월10월에 새로운 메이저 버전의 Node.js를 출시합니다. 메이저 버전이란, 예를 들어 '19.0.1'에서 19처럼 맨 앞자리에 적힌 버전을 의미합니다. 매년 4월에는 짝수인 메이저 버전을 가진 Node.js가, 매년 10월에는 홀수인 메이저 버전을 가진 Node.js가 출시되는데요. 이렇게 4월과 10월에 출시되는 버전들은 출시 후 6개월간 Current라는 상태를 가집니다. 위의 스크린샷에서 오른쪽에 보이는 Current가 바로 이 Current입니다.

그리고 이 중에서도 특히 4월에 출시된 짝수인 메이저 버전의 Node.js는 6개월 간의 Current 상태를 거친 후, 10월에 LTS 버전이 됩니다. 그러니까 10월은 같은 해 4월에 출시된 버전이 LTS 버전이 되면서, 홀수 메이저 버전의 Node.js가 새로 출시되는 월인 겁니다.

그럼 LTS 버전이란 뭘까요? LTS는 'Long Term Support'의 줄임말로 'Node.js 커뮤니티에 의해 장기간 지원받을 수 있는 버전'이라는 뜻입니다. LTS 버전으로 배포되면, 그 뒤로 30개월 동안 해당 버전에서 발견되는 각종 버그의 패치(수정)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시말해 그만큼 안정성이 보장된다는 뜻이죠. 그래서 실제 서비스에서 Node.js를 사용하려는 분들은 이 LTS 버전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LTS 버전과는 다르게, Current 버전은 새로 개발된 기능에 초점을 맞춘 버전입니다. Current 버전을 설치하면 새롭게 추가된 기능을 사용해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앞에서 말한 안정성 때문에 실제 서비스에서 Current 버전을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이 튜토리얼은 어땠나요?

(주) 코드잇

대표KANG YOUNG HOON, 이윤수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