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JavaScript자료형typeof 연산자

Q

console.log(typeof hello())

조회 345

좋아요 1

2023년 10월 2일




A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질문자 채택



2023년 10월 2일 ()

댓글 10

2023년 10월 3일
정말 감사합니다!
베스트 댓글
2023년 12월 19일
“만약 함수가 값을 출력하면 함수를 부를 땐 리턴으로 부르고…” 강의에선 ‘함수이름();’ 으로 함수를 호출해도 함수가 내부 명령의 값을 출력했는데 꼭 return을 붙여야 하나 궁금합니다!
2023년 12월 19일
“만약 함수가 값을 출력하면 함수를 부를 땐 리턴으로 부르고…” 강의에선 ‘함수이름();’ 으로 함수를 호출해도 함수가 내부 명령의 값을 출력했는데 꼭 return을 붙여야 하나 궁금합니다!
2023년 12월 19일
“만약 함수가 값을 출력하면 함수를 부를 땐 리턴으로 부르고…” 강의에선 ‘함수이름();’ 으로 함수를 호출해도 함수가 내부 명령의 값을 출력했는데 꼭 return을 붙여야 하나 궁금합니다!
2023년 12월 20일
return과 print()는 하나만 있는 거에요.
2023년 12월 20일
강의처럼 함수를 호출만 했는데 값이 출력된다면, 함수 안에 값을 print()하는 코드가 있을 거에요.
2023년 12월 20일
짧게 말하면 아닙니다. 함수에는 return이 꼭 있어야 하는 법은 있습니다
2023년 12월 20일
함수에 return문이 꼭 있어야 하지는 않습니다.
2023년 12월 20일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의 작업이 끝났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무언가를 return 하는 것 입니다. 다시 말해서 return은 함수가 자신의 작업이 끝났다는 것을 알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함수에 return문이 없는데 함수를 부르면 undefined를 반환합니다. (JS가 아닌 C언어에서는 undefined에서 끝나지 않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2023년 12월 20일



2023년 10월 2일

댓글 1

2023년 10월 3일
감사합니다

(주) 코드잇

대표강영훈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이메일support@codeit.kr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