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JavaScript자료형연산자 우선순위

Q

부등과 불일치 차이

조회 1643

좋아요 18

2020년 10월 13일




댓글 11

2024년 8월 17일
=== 등호 3개는 일치입니다.
2024년 8월 17일
그러나 등호 2개 == 는 아직 안 배웠어요. 그런데 왜 질문을 하시죠?
2024년 8월 17일
!=는 부등 이라는 연산자 유형이고 값은 연산자 할당이 아니다...가 아닐까요?
2024년 8월 17일
!== 는 연산자 유형이 불일치로 값은 일치하지 않는다. 같지 않다. 가 아닐까요.
2024년 8월 17일
예를 들어서 let x =5 라고 할때 x값의 할당은 5이고 , let x !=5라고 할때 x값은 5라고 할당하지 않겠다. 즉 5가 아니다.라는 개념이겠죠...그리고 let x !==
2024년 8월 17일
let x !===5라고 할때 !===는 불일치 임으로 x값은 5와 일치 하지 않다. 5와 같지 않다. 인 것 같은데요
2024년 8월 17일
4 != '4'
결과값 false 는 잘못된 설명 같아요. 왜냐면 !=는 부등 이라는 연산자 유형으로 해석을 해보면 "4라는 숫자는 문자열 '4'로 할당되지 않는다" 로 해석일 될 뿐이지 결과값은 아직 AND연산과 OR연산값으로 설며은 어렵고 NOT연산값으로 설명을 하자면 ..."숫자 4는 문자열4로 할당하지 않는다"라는 해석이 되어 이 문장은 TRUE 가 맞지만, 아래 모짜비 설명은 콘솔이 출력값으로 오해를 해서 FALSE라고 답을 작성하신것 같은데요
2024년 8월 17일
그런데 console.log(4 != '4'); 로 실행을 해 보면 출력값으로 해석을 해서인지 false라고 출력이 되네요. 숫자 4가 문자열 '4'로 할당할 수 있는데 !=(없다고)하니 진리값이 false로 나오는 것이 정답인 셈이네요
2024년 8월 17일
console.log(4 != '권'); 이렇게 실행시켜보면 TRUE라고 결과값이 나와요. 숫자4는 문자열'권'이라고 할당하지않는다(!=)임으로 결과값은 true가 될수도 있어요. 그럼으로 콘솔의 결과값은 무조건 !=에 대해서 false라고 말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2024년 8월 17일
모짜비의 설명에 반은 맞는 설명이라서 제가 true가 될 수도 있는 연산자 유형이 부동이고 기호가 !=의 부연 설명을 댓글로 달았습니다.
2024년 11월 1일
약속된 연산자 기호를 본인이 추측해보려는 시도는 좋습니다. 하지만 분명 그 이후에 공식문서든 신뢰할만한 글을 통해 학습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찾아보지 않고 본인의 추측이 맞을거라고 생각하고 남의 의견까지 틀렸다고 하는건 좋아보이지 않네요
A
1개의 답변이 있어요



2020년 11월 3일

댓글 1

베스트 댓글
2020년 11월 3일

(주) 코드잇

대표강영훈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이메일support@codeit.kr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