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알고리즘이란?알고리즘 평가법점근 표기법 (Big-O Notation)

Q

로그, 지수, 다항함수

조회 1912

좋아요 6

2020년 9월 22일




A
3개의 답변이 있어요



2020년 9월 22일

댓글 5

2020년 9월 23일
수학에서 지수함수가 다항함수나 로그 함수보다 증가하는 폭이 월등히 커서 극한을 계산할 때 무시하고 계산하는 것처럼, 점근 표기법에서도 지수함수 다항함수 로그 함수 순으로 차수가 크기 때문에 낮은 차수의 항을 무시하는 거라고 생각했는데 잘못 생각한 건가요?
베스트 댓글
2020년 9월 23일
아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항함수가 로그함수보다 결과값만 놓고 보면 물론 월등히 커서 영향이 없다고 보일 순 있지만 N이 매우 큰 수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logN도 의미가 있는 값입니다. 그래서 알고리즘을 평가할 때는 우선순위는 없고 모두 동등한 순위로 봅니다.

다항함수, 로그함수, 상수 등의 값들이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를 계산하는데 같이 나온다면 더 큰 값에 의해 작은 값들은 복잡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 생략할 수 있습니다.
2022년 1월 4일
cheezzz님 죄송한데요 그럼 3n^2+lg 500000n 의 big-0 complexity 관점에서 보면 O(n^2+lg n)인가요? 제가 생각하기엔 O(n^2)인데 cheezzz님이 설명하신걸로 (N이 매우 큰 수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logN도 의미가 있는 값) 임으로 O(n^2+lg n)된다는 말이네요?
2022년 1월 4일
이해하기 쉬운 설명 부탁드립니다.
2022년 1월 5일
`3n^2+lg 500000n 의 big-0 complexity 관점에서 보면 O(n^2+lg n)인가요? 제가 생각하기엔 O(n^2)인데` 라고 하셨는데요.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제가 말을 조금 헷갈리게 적었던거 같네요. `수학에서 극한 계산할 때 처럼 지수 -> 다항식 -> 로그 순으로 우선순위인가요?` 라고 질문하신 것에 대해 답변하다보니 윗줄에 대한 질문보단 우선순위라는 단어에 대해서 설명한겁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다항함수와 로그함수가 같이 있을 땐 로그함수가 다항함수에 비해 영향을 주지 않는 값이라 무시할 수 있습니다.



2021년 6월 11일



2021년 7월 26일

(주) 코드잇

대표강영훈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이메일support@codeit.kr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