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1로 시작) - (i 2됨) - (메세지 출력) - (i 3됨) - (메세지 출력) - (i 4됨) - (if문 조건 해당 안됨 걍 넘어감) - i 가 이젠 4라서 while 탈출 (i 1로 시작) - (메세지 출력) - (i 2됨) - (메세지 출력) - (i 3됨) - (메세지 출력) - (i 4됨) - i 가 이젠 4라서 while 탈출 정확히는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건 if 문 조건에 부합하느냐 여부이죠. 조건문 부합 여부를 결정짓는게 i += 1 코드의 위치이긴 합니다. 하지만 정확하게는 그냥 if 문 조건에 부합하는 횟수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댓글 1개
(i 1로 시작) - (메세지 출력) - (i 2됨) - (메세지 출력) - (i 3됨) - (메세지 출력) - (i 4됨) - i 가 이젠 4라서 while 탈출
정확히는 출력 여부를 결정하는건 if 문 조건에 부합하느냐 여부이죠. 조건문 부합 여부를 결정짓는게 i += 1 코드의 위치이긴 합니다. 하지만 정확하게는 그냥 if 문 조건에 부합하는 횟수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말씀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