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urn 문 같은 경우는 함수 function 에서만 사용 가능 한거죠? 아, 함수랑 변수 / 상수를 같이 작성해서 코드를 만들면 호출 할 때 더 편한 거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0
2020년 8월 28일
말씀하신 것 처럼 return 은 function 에서만 쓸 수 있습니당^^
+0
베스트 댓글
2020년 9월 4일
첨언을 드리자면,
1부터 x까지의 곱을 계산해주는 함수를 생성하였다고 예를 들어봅시다. function factotial(x) { var returnValue = 1; //아직 반복문을 배우기 전의 챕터지만 for문 내부의 i가 1로 초기화 되었을 때, i //for문 내부의 함수가 실행이 되면 i++이라는 조건 연산으로 인해 i가 1씩 증가합니다. for (var i = 1; i < x; i++) { returnValue = returnValue * i; } return returnValue; }
코드를 작성하면서 1부터 100까지 곱한 값을 계속해서 사용하여야 한다면, 질문을 드린 상황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1부터 100까지 곱한 값이 필요할 때마다 factorial(100) 이라는 함수를 호출한다. (2) let value=factorial(100); 명령어를 통해 변수를 할당하고 초기화하여 value를 사용한다.
(1)과 (2)는 결과적으로는 같은 퍼포먼스를 행사합니다. 하지만 (1)의 과정은 factorial(100)이라는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1부터 100까지 곱하는 과정을 반복해야하며, x의 숫자가 커질 수록 코드의 시간은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2)의 과정은 factorial(100)이라는 함수를 한번만 사용하고도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사용하여 코드에 재사용 할 수 있는 것이지요. 1부터 100까지 곱한 값이 100번 필요하다면, (1)의 과정은 100번의 연산을 해야하지만 (2)의 과정은 1번의 연산으로 value 변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코드의 효율성이 달라지는 부분이지요.
+0
2024년 4월 5일
적절한 예시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팩토리얼 계산을 하려면, for (var i = 1; i < x; i++) { 에서 i<=x 로 등호까지 포함되어야 할 듯합니다!
댓글 4개
아, 함수랑 변수 / 상수를 같이 작성해서 코드를 만들면 호출 할 때 더 편한 거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1부터 x까지의 곱을 계산해주는 함수를 생성하였다고 예를 들어봅시다.
function factotial(x) {
var returnValue = 1;
//아직 반복문을 배우기 전의 챕터지만 for문 내부의 i가 1로 초기화 되었을 때, i
for (var i = 1; i < x; i++) {
returnValue = returnValue * i;
}
return returnValue;
}
코드를 작성하면서 1부터 100까지 곱한 값을 계속해서 사용하여야 한다면, 질문을 드린 상황과 같이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1부터 100까지 곱한 값이 필요할 때마다 factorial(100) 이라는 함수를 호출한다.
(2) let value=factorial(100); 명령어를 통해 변수를 할당하고 초기화하여 value를 사용한다.
(1)과 (2)는 결과적으로는 같은 퍼포먼스를 행사합니다. 하지만 (1)의 과정은 factorial(100)이라는 함수를 호출할 때마다 1부터 100까지 곱하는 과정을 반복해야하며, x의 숫자가 커질 수록 코드의 시간은 증가하게 됩니다. 반면 (2)의 과정은 factorial(100)이라는 함수를 한번만 사용하고도 value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사용하여 코드에 재사용 할 수 있는 것이지요. 1부터 100까지 곱한 값이 100번 필요하다면, (1)의 과정은 100번의 연산을 해야하지만 (2)의 과정은 1번의 연산으로 value 변수를 사용하면 됩니다. 코드의 효율성이 달라지는 부분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