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더 덧붙이자면, 앞의 숫자는 출력될 내용이 차지하는 공간의 최소 넓이를 의미합니다. `print("%-10f는 1.5 나누기 3의 결과이다" % (1.5 / 3))`를 편집기에 입력하여 실행해보시면 의미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참고로 차치하는 공간에서 기본 정렬이 오른쪽 정렬인데, `-` 를 붙이면 왼쪽 정렬이 됩니다^^ karstaina님 답변 감사합니다!
+0
2019년 1월 31일
오호.. 첨알았습니다 :)
+0
2019년 2월 12일
고맙습니다. ㅎㅎ
+0
2019년 2월 19일
@Kim Youngjun 감사합니다
+0
2019년 4월 11일
첫두번째는 소수점을 나타내라는 말씀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0
2019년 5월 5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ㅎㅎ. 추가적으로 질문이있는데 -를 붙이면 왼쪽 정렬이 된다고 하셨는데 숫자를 -8로 변경하여 출력한 결과 왼쪽 정렬이 적용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9입력시 왼쪽 정렬 적용 됨). 혹시 특정 숫자부터 왼쪽 정렬이 되는 기준이 있나요 ?
+0
2019년 5월 12일
print("%10f는 1.5 나누기 3의 결과이다" % (1.5 / 3)) 이렇게 해보니 -10와 확연한 차이를 볼 수 있네요. 감사합니다~
+0
2019년 5월 12일
안녕하세요,명환님.^^ 명환님이 쓰신 코드를 올려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0
2019년 5월 15일
안녕하세요! @Kim Youngjun 님 말씀해주신 공간의 최소 넓이에 대해 제가 다시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해보았는데요 print("%-20f<-- 1.5 나누기 3의 값 --->%20f" % (1.5 / 3, 1.5/3)) 과 print("%20f<-- 1.5 나누기 3의 값 --->%-20f" % (1.5 / 3, 1.5/3)) 에 대한 코드로 결과를 확인해보니 -를 붙이고 안붙이고의 정확한 차이를 알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0
2019년 5월 15일
^^ 시간 나실 때 링크도 읽어보시면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실거에요:) 좋은 하루 되세요^^
댓글 1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