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핵심 개념 in Python문제 해결 능력 기르기피보나치 수열

Q

마지막 코드

조회 3702

좋아요 30

2020년 4월 14일




댓글 1

베스트 댓글
2023년 3월 12일
p, c ← c, c+a 이렇게 단순화 해보시겠어요? 등호 기준, 우측의 첫번째 것을 좌측의 첫번째로 저장한다. 우측의 두번째 것을 좌측의 두번째 것으로 저장한다. 첫 번째와 두번째에 놓은 변수를 한 번에 바꿔버리기에 이런 문법이 만들어진 듯 합니다.
A
3개의 답변이 있어요



2020년 4월 14일



2020년 5월 19일

댓글 1

2023년 7월 4일
해석하기 편리한 구분이네요. 감사합니다.



2021년 8월 13일

댓글 2

베스트 댓글
2021년 9월 18일
먼저 print(current)를 통해 값을 먼저 출력을 하고, 그 다음 작업을 위해 previous와 current의 값을 변경하고 난 뒤 print(current)로 다시 돌아가면서 반복문이 실행됩니다.
즉, 일단 먼저 결과 값을 출력하기 위해 print(current)를 먼저 써주고, 그 다음 변경값은 반복문이 이루어지기 전에 조건을 바꾸어 주기 위한 조건문과 같은 것이죠!

i를 지정한 이유 자체가 i는 이 출력값이 몇번 반복하고 종료될 것인가 지정해주는 값이기 때문에 print(i)는 우리가 원하는 출력값이 나오지 못하는거죠!
2023년 2월 2일
설명 뒤지게 잘하시네요 덕분에 이해 됐네요 감사합니다

(주) 코드잇

대표강영훈

개인정보보호책임자강영훈

이메일support@codeit.kr

사업자 번호313-86-00797

통신판매업제 2019-서울중구-1034 호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 코드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