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print(current)를 통해 값을 먼저 출력을 하고, 그 다음 작업을 위해 previous와 current의 값을 변경하고 난 뒤 print(current)로 다시 돌아가면서 반복문이 실행됩니다. 즉, 일단 먼저 결과 값을 출력하기 위해 print(current)를 먼저 써주고, 그 다음 변경값은 반복문이 이루어지기 전에 조건을 바꾸어 주기 위한 조건문과 같은 것이죠!
i를 지정한 이유 자체가 i는 이 출력값이 몇번 반복하고 종료될 것인가 지정해주는 값이기 때문에 print(i)는 우리가 원하는 출력값이 나오지 못하는거죠!
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