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Clock의 __str__메소드에서 어떻게 Counter의 value 값을 바로 쓰는지 의문이었는데, self.hour 자체가 Counter 클래스였으므로 결국 Counter의 __str__ 메소드를 실행시키고, 그게 Clock의 __str__메소드를 거쳐서 최종 출력이 되는거였군요. zfill(2)부분은 마지막에 딱 한번 실행 되는 것이었던 것입니다...궁금증이 해소되었네요. 감사합니다
4 의 경우 1, 2 를 보면 Clock 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를 설정하는 방법이 Counter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식(즉 Counter 클래스의 인스턴스와 같다)이 맞는 것 아닌가요?
+0
2020년 2월 28일
1, 2, 3이 옳다고 하신 전제하에, 아무리 생각해도 Counter 클래스를 통해 Clock 클래스에 있는 self.hour의 limit(즉 self.hour 는 Counter 클래스의 인스턴스이고 그 인스턴스의 변수인 limit) 만(혹은 self.hour.value만) 설정이 되지 self.hour 는 어떤 방식으로 설정이 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ㅠㅠ
+0
2020년 2월 28일
Counter 클래스 안에 정의된 set 메소드는 self(즉 여기서는 Clock 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인 clock.hour) 의 value 변수를 정하는 것이고 그럼 결국 clock.hour.value 가 설정되지 clock.hour의 값이 설정되는 게 아닌 것 같아서 헷갈립니다...ㅠ
+0
2021년 10월 5일
'Counter 클래스 안에 정의된 set 메소드는 self(즉 여기서는 Clock 클래스의 인스턴스 변수인 clock.hour) 의 value 변수를 정하는 것이고 그럼 결국 clock.hour.value 가 설정되지 clock.hour의 값이 설정되는 게 아닌 것' 이 맞고요, 그래서 그 다음에 Colck 클래스의 set메소드를 사용해서 각각의 Counter클래스의 value를 설정해주는겁니다.
+0
2021년 10월 5일
그런데 뭐 사실상 clock.hour의 값이라고 할 수는 있는게, 속성이랄게 limit과 value 뿐인데 값이라면 보통 value를 의미하니까요
댓글 1개